데이터 쓰레기

 



현재 우리는 클라우드, 블록체인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그러한 기술들은 원본 데이터의 용량 이상의 데이터들을 담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축적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드웨어의 발전 속도를 넘어서고 있다.

하드웨어의 기술적 발전에는 물리적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하드웨어의 효율이 무작정 좋아질 수 만은 없을 것이다.

구글은 어마무시한 클라우드 서버 센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존재하는 그 센터 마저도 부족하여 센터를 더 지어야 되는 상황이다.

만약 계속 쌓여만 가는 데이터를 함부러 지울 수 없는 상황이 오고 그 데이터가 결코 유효한 데이터가 아님에도 쓰레기로 두어야 되는 상황이 온다면, 그로인해 필요한 하드웨어의 숫는 늘어 날 것이고 그러한 하드웨어의 수명이 다 할때에는 물리적인 쓰레기 또한 늘어나게 될 것이다.

지금의 플라스틱은 바다를 덮을 정도로 많은 쓰레기 양으로 인해 환경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다.
플라스틱의 역사는 100년도 되지 않았고 플라스틱은 실질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그러한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많이 생산하지말고 많이 쓰지 말자고 운동을 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쓰레기 또한 플라스틱의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관심이 많은 공학도들이 없지만 이러한 문제에 대해 생각을 할 필요는 충분히 있다고 본다.
이것은 결코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는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우리가 직면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또다른 예로 우리는 물을 펑펑쓴다는 표현을 썼는데 이는 마치 물이 무한으로 쓸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나오는 표현이었다.
허나 물 부족 문제는 우리에게 닥쳐온 문제이다.
전기또한 원자력 발전이 있은 후 우리는 아무 생각 없이 전기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마치 전기가 끊이지 않을 것 처럼..
현재 전기를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등에 대한 연구는 진행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왜냐하면 전기는 우리가 착각하는 것 처럼 혹은 생각하지 않은 것 처럼 무한으로 있는 자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앞으로 데이터 쓰레기에 대한 문제는 고민해봐야 할 문제이고 닥쳐올 문제일 것이다.